공통설정 설명

 접속자체크

     공통설정에서 할 수 있는 일은 전체검색,전체최근글과 접속자, 포인트설정과 메일링, 아이디/닉네임검색

     그리고 [디자인관리]라는 것을 이용해 프로그램전체의 디자인을 만들어주는 곳이다.

그림 2-1  [공통설정 화면]

 

     1. [접속자리스트]는 현제 홈페이지에 누가 접속중인지를 체크하는 프로그램이다.

         접속자체크를 하지 않으면 속도가 현저히 빨라진다.

     2. [방문자 접속통계]는 관리자모드 > 접속통계를 말한다.

         [클릭수 체크]를 [사용안함]에 체크하면 최초 방문시 카운터가 한번만 올라가게 되고

         이후 하루동안 카운터되지 않는다.

         클릭수란 [페이지뷰]라고도 하는데 이것역시 [사용안함]에 체크해두면 홈페이지로딩 속도가 빨라진다.

 

 메일링, 필터링 설정

      메일링은 회원관리 > 메일링에서 몇건 단위로 발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곳이다.

      한번에 수만건 발송한다면 이것을 서버가 견디지 못하고 다운되어 버릴 것이므로

      몇건 단위로 나누어 발송하는게 서버에 안전하며 운영에 유리하다.

그림 2-2  [공통설정 화면]

 

      2. 불량단어

          게시물을 등록할 때 유쾌하지않은 단어가 포함할때 다른문자로 변환해 주는 기능이다.

      3. 아이디/닉네임

          사용자가 회원으로 등록할 때 차단되어야할 아이디나 닉네임을 필터해주는 기능이다.

          ,로 구분하여 작성해주면 된다.

      4. ip차단

          불량스런 스팸성, 해킹성이 우려되는 ip가 있다면 이를 차단시켜주는 기능이다.

          방법은 엔터로 구분해서 ip주소를 입력해주며 파일로 저장된다.

      5. 트랙백필터

          트랙백을 허용할 도메인을 입력하는데 www나 http://를 허용하며 ,로 구분해서 입력해 주면 된다.

          등록된 도메인이 아니면 트랙백을 사용하지 못한다.

 

게시판설정 설명

아래는 게시판 설정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


 게시판/회원 테이블 만들기

     처음설치시 자유게시판, 설문투표, 이미지자료실 이란 게시판과 회원테이블1개가 만들어진다.

     추가하고자 하는 게시판이 있다면 관리자모드 상단의 테이블추가로 들어가서 만들어주는데,

     게시판을 만들면 반드시 게시판관리 > 권한설정 > 접근권한설정의 회원테이블을 선택해서 연동해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관리자 이외의 일반사용자는 사용권한을 가질 수 없게 된다.

그림 8-1  [관리자모드 첫화면]

 

 No

     게시판 리스트에 보면 no타이틀이 보일 것이다.
     게시판이나 회원테이블을 생성하면 고유한 아이디로 테이블을 만드는데,

     gm_board_info의 idx필드에 아이디가 입력되고 gm_db_id 란 테이블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아이디가 No에 표시가 된다.

 

 write/memo

      write는 오늘 글작성수를 표시하고 memo에도 오늘작성된 코멘트수를 표시한다.

 

 설정보관함

     지엠보드는 다른 게시판과는 다른 다중필드와 검색필드등 수십여개의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동일한 옵션이 설정된 게시판에 게시판생성마다 일일이 같은 옵션을 설정하기에는 너무나 불편하다.

     설정보관함은 이 점을 보완하기위해 고안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게시판에 저장된 옵션을 보관(저장)하고자 한다면 보관하고싶은 게시판의 V링크를 선택해서 저장하면 된다.

 

 불량 게시물 신고

     이 기능은 1.5부터 지원된다.

     게시판 리스트중 메뉴의 [불량게시물]을 선택하면 아래 그림이 출력된다.

     불량게시물이란 음란성, 광고성, 스팸성글등 불량스런 글이 접수된 목록을 확인하는 곳이다.

그림 8-2  [불량게시물을 클릭한 화면]

 

     삭제버튼을 클릭하면 접수된 게시물만 삭제가 되지만

     불량게시물일 경우 [게시물삭제]에 체크하고 삭제하면 게시판게시물과 접수된 게시물이 동시에 삭제된다.

     여기서 포인트 적립/추가 기능이 제공되니 적절히 사용하기 바란다.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게시판관리 > 기본설정 > 본문설정의 [게시물신고] 사용여부를 체크하여야 한다.

 

기본설정 > 검색 출력

      일반 게시판의 검색폼을 보여줄지를 결정하는 곳이다.

      또 색상에 값을 입력하지 않으면 기본값이 적용되는데 배경색상은 Yellow 단어는 Red로 적용된다.

      단 전체검색의 배경색, 단어색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공통설정 > 전체검색에서 따로 설정해줘야 한다.

그림 8-3  [기본설정 > 글쓰기설정 화면]

 

기본설정 > 인기검색어 사용

      인기검색어는 검색시 검색단어를 테이블에 저장시키고 최근글로 불러온다.

그림 8-4  [기본설정 > 글쓰기설정 화면]

 

기본설정 > 목록출력

      게시판 리스트중 기본설정에 들어가면 다영한 옵션이 보이는데 그중 목록출력이란 기능의 설명이다.

      이 기능은 1.5부터 지원되는 기능으로 게시판목록에 출력하고자하는 필드를 선택해서 출력해주는 특별한 기능이다.

      [대기필드]는 출력대상이 되는 필드이고 출력되고 있는 필드는 [출력필드]에 표시된다.

      [목록출력]에서 할 수 있는 일은 필드출력, 필드순서변경, 타이틀 수정, 셀사이즈조절등이다.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사용여부에 체크하고 게시판 스킨을 mboard스킨으로 저장하여야 한다.

 

그림 8-5  [기본설정 > 목록설정에 목록출력 설정 화면]

 

기본설정 > 연속 글등록 차단

      기본적으로 연속적으로 빠르게 글을 등록할 때 스팸글로 판단하여 등록을 차단하게 되는데

      차단기능을 무효화시키려면 [사용안함]에 체크하면 된다.

      또 같은 제목의 글도 스팸글로 판단되므로 무효화 시킬 수 있다.

그림 8-6  [기본설정 > 글쓰기설정 화면]

 

출력폼

      출력폼은 게시판의 상단, 하단에 임의의 태그를 넣을 수 폼이다.

      여기서 특별한 점이 있다면 3개의 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1. 공통설정 > 디자인관리 > 게시판페이지에서 상단,하단을 설정

          2. 페이지관리에서 작성한 페이지 출력

          3. 게시판 출력폼박스

그림 8-7  [기본설정 > 출력폼의 한 화면]

 

      [공통출력폼]이란 공통설정 > 디자인관리 > 게시판페이지에 저장해둔 태그를 말한다.

      셀렉트박스는 페이지관리에 저장해둔 페이지이다.

 

분류설정

      카테고리설정은 무한 개의 하위카테고리를 만들어주는 기능이다.

그림 8-8  [분류설정의 한 화면]

 

      분류등록은 루트에 원하는 카테고리명을 입력하고 분류등록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만들어진 카테고리에 하위카테고리를 만들고 싶다면 View링크를 클릭한다음 다시 분류를 등록해주면 된다.

      여기서 [내용]이란 타이틀이 보이는데 이 기능은 카테고리상단에 출력될 내용을 선택하는 것으로

      페이지관리에 저장해둔 파일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게시판관리 > 기본설정 > 목록설정의 카테고리사용여부에 체크하여야 한다.

 

 

다중필드, 검색필드

다중필드는 15개의 옵션을 제공합니다.

한줄박스, 펼침목록,체크박스,라디오버튼,트랙백 등 15종류의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림 5-1  [다중필드의 첫화면]

 

 폼설정

     1. [폼너비]는 text, textarea의 폼을 조절할수 있다.

     2. [체크박스 나눔]은 몇개단위로 나눌지를 결정한다.

          수십개의 체크박스를 사용한다면 나눠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3. 체크박스설정의 [기본입력받음]은 체크박스를 1개이상을 입력받고자할때

         사용된다. 4개, 5개를 입력받으려면 적당한 숫자를 입력하기 바란다.

 

 체크박스,라디오,펼침목록 작성

     체크박스,라디오,펼침목록을 만들려면  , 로 구분해서 내용을 입력해 주면 된다.

     여기서 사용할수 없는 문자는 ,`:| 이다.

     텍스트박스와 스크롤박스는 제목만 입력하면 자동출력된다.

그림 5-2  [셀렉트를 만들어 출력하는 화면]

 

 링크박스

     링크박스는 한줄박스로부터 입력받은 값을 하이퍼링크로 만들어주는 기능이다.

     <a href="입력받은 값">입력받은 값</a>

     링크를 사용하려면 셀렉트박스내용중 링크박스를 선택하면 된다.

그림 5-3  [링크박스를 만들어 출력하는 화면]

 

 트랙백

     트랙백은 일반 블로그에서 지원되는 기능중 하나를 말한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글열람시에만 트랙백링크가 나타나며

     새글,수정,답글시 필드가 나타나지 않고 필수항목도 작동하지 않는다.

     트랙백을 사용하려면 셀렉트박스내용중 트랙백을 선택하면 된다.

그림 5-4  [트랙백을 만들어 출력하는 화면]

 

 변수설명

     다중필드는 배열로 저장되어 관리되므로 일반적인 필드와는 틀리다.

     스킨을 직접수정하는 경우 아래 변수를 이용하여 수정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필드 제목: $u_title[0][1] 부터 $u_title[21][1]까지 사용가능
     필드 내용: $util_tmp[0] 부터 $util_tmp[21]까지 사용가능

     필드 이름: u_tail_s2[0]부터 u_tail_s2[21]까지 사용가능

     <input type="text" name="필드이름" value="필드내용">

     실제로 적용할 때는 아래 필드로 작성하면 된다.

     <?=$u_title[필드번호][1]?> <input type="text" name="u_tail_s2[필드번호]" value="<?=$util_tmp[필드번호]?>">

 

    *주의: 1번필드를 사용한다면 변수는 $util_tmp[0]이 되고

                 5번필드를 사용한다면 $util_tmp[4]가 되는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변수의 사용범위는 최근글, 리스트, 글작성, 글열람에서 똑같은 변수로 사용된다.

 

 직접입력

     관리자모드에서 제공되는 기능외의 사용자가 직접 코드를 수정해서 사용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셀렉트박스내용중 [직접수정]을 선택하면 된다.

     3번필드을 [직접수정]으로 코드를 작성하고자 한다면 아래 필드처럼 작성해주면 되는데 필드이름을 u_tail_s2[2]로 해주길 바란다.

    필드: <input type="text" name="u_tail_s2[2]" value="<?=$util_tmp[2]?>">

 

글작성폼

결과물

필드:  

 테스트

 

 검색필드

     검색필드도 다중필드와 다를바 없다.

     다중필드와 다른점이 있다면 다중검색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 기능은 최고 6개까지 동시검색이 가능한데 [제목 > 제조사 > 종류 > 배기량]이 일치하는 정보를 검색하게 해준다.

     아래그림에서 제목과 본문입력박스가 보이는데 셀렉트박스와 라디오버튼을 만들 때만 [본문]에 ,로 구분해서 입력해주면 된다.

     여기서 사용할수 없는 문자는 ,`:| 이다.

그림 5-5  [검색필드 작성폼 화면]

 

     스킨을 직접수정하고자 한다면 $sh_1부터 $sh_5까지 5개가 제공된다.

 

     필드 제목: $sh_title[0][0]부터 $sh_title[4][0]까지 사용가능

     필드 내용: $sh_1부터 $sh_5까지 사용가능

     필드 이름: sh_1부터 sh_5까지 사용가능

    <input type="text" name="필드이름" value="필드내용">

    실제로 적용할 때는 아래필드처럼 작성해주면 된다.

   <?=$sh_title[필드번호][0]?>: <input type="text" name="sh_필드번호" value="<?=$sh_필드번호?>">

 

    *주의: 1번필드를 사용한다면 검색필드제목은 $sh_title[0][0]이 되고

                 5번필드를 사용한다면 $sh_title[0][0]이 되는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변수의 사용범위는 최근글, 리스트, 글작성, 글열람에서 똑같은 변수로 사용된다.

 

다중파일설정 설명

파일관리 > 다중파일

     아래는 게시판관리 > 파일관리 > 다중파일에 대한 설명이다.

     지엠보드는 기본적으로 이미지전용 업로드와 수개의 다중파일을 제공한다.

     파일업로드갯수에 제한하지 않으려면 [사용갯수]란에 숫자를 입력하지 않으면 된다.

그림 4-1  [파일설정 > 다중파일 화면]

 

총제한 용량

     파일용량을 제한하기 위해 숫자를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사용자등록폼에 제한용량이 표시되고

     공백으로 두면 제한용량이 표시 되지 않는다.

그림 4-2  [글쓰기화면]

 

참조글

     참조글이란? 이미지파일 하단에 표시되는 간략한 설명을 말한다.

그림 4-3  [참조글을 작성한 화면]

 

변수설명

     다중파일은 글열람시  [다중파일 설정]에서 설정한 값에 의해 <?=$u_file?>변수로 자동으로 출력된다.

     아래 그림처럼 사용자가 직접수정해서 출력하고자 할 때는 $u_file변수로는 사용할 수 없지만

     $ups_img[필드번호]로는 수정이 가능하다.

그림 4-4  [다중파일을 응용한 화면]

 

     글등록,수정,답글폼 작성예:

     <input type='file' name='upfile[]' class='input' style='width: 60%'><?=$upfile_del[번호]?>

     $upfile_del[번호] 는 글수정시 파일삭제 체크박스를 표시한다.

 

     글열람 작성예:

     이미지#1: <?=$ups_img[0]?>

     이미지#2: <?=$ups_img[1]?>

     ....

     이미지#99: <?=$ups_img[99]?>

 

     글목록 작성예:

     이미지#1: <?=$ups_img[0]?>

     이미지#2: <?=$ups_img[1]?>

     ....

     이미지#99: <?=$ups_img[99]?>

 

     *주의: 1번필드를 사용한다면 변수는 $ups_img[0]이 되고

                  5번필드를 사용한다면 $ups_img[4]가 되는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변수의 사용범위는 최근글, 리스트, 글작성, 글열람에서 사용된다.

 

다운로드

     이미지,미디어와 같이 다운로드로 사용하려면 게시판관리 > 파일관리 > 다중파일 > 자동출력에 사용여부를 체크해주면 된다.

     다운로드 변수는 $nowfile로 사용하고 목록이나 최근글에선 $ups_img[번호]로 사용한다.

 

 

회원관리

 다중 회원테이블

     지엠보드는 단일회원관리가 아닌 수개에서 무한 개의 회원테이블을 만들 수 있다.

     최초설치시 memb라는 일반회원테이블이 만들어지는데 원한다면 [테이블추가]에서 회원테이블을 추가해줄 수 있다.

     회원등록은 gmboard.php?db=테이블&mode=write로 해주고

     로그인은 gmboard/bbs/login.php?db=테이블 로 해주면 된다.

 

 강제접속제한

     회원관리 > 회원수정 하단에 보면 강제접속제한 기능이 보일 것이다.

     회원을 일시적으로 로그인을 차단하고자 할 때 사용되며 차단된 사유와 사용여부에 체크되어야 작동하게 된다.

그림 2-1  [회원관리 > 회원수정 화면]

 

 메일링 발송

      공통설정 > 메일링 설정에 발송건수에 의해 발송된다.

      메일을 발송할 때 [메일내용저장]에 체크해 두면 내용이 [메일링데이터]란 곳에 따로 저장하게 되는데

      [메일링데이터]는 페이지관리 > 메일링데이터에서 확인할 수 잇으며 일반페이지관리와 구분된다.

      [저장된 자료불러오기]는 [메일링데이터]에서 자료를 가져오도록 되어 있다.

      해당회원의 이름, 닉네임, 이메일로 발송하려면 이름=> [name], 닉네임=> [nick], 이메일=> [email]로 작성해주면 된다.

 

        TEST------------------------------------------------------------------

      안녕하세요. [name]님 반갑습니다.

      회원님이 작성하신 [email]로 테스트중입니다.

 

그림 2-2  [회원관리 > 메일링 화면]